24절기 중 대한 뜻, 풍습, 속담, 음식에 대해 알아봐요

2022년 한 해가 가고 2023년이 왔습니다. 대한은 24절기의 마지막인데요. 봄을 한 해의 시작이라고 보았을 때 입춘이 그 시작이겠죠. 그러면 대한은 연말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대한이란?  큰 대, 추울 한의 한자를 씁니다. 글자 그대로 '큰 추위가 오는 날'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하지만 24절기라는 것이 중국의 화북지방에서 왔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약간 맞지 않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소한이 대한보다 추울 때가 많다는 점이죠. 소한은 '작은 추위가 오는 날'인데도요.   정확하게 대한은 태양 황경이 300도에 위치할 때를 이야기하는데요. 양력으로 1월 20일이나 21일 정도가 됩니다. 24절기의 마지막으로 이다음 절기는 봄을 알리는 입춘입니다.   대한을 기점으로 5일씩 나누어 초후, 중후, 말후로 나뉘는데 각각 '달이 알을 낳는다', '새가 높고 빠르게 난다', '연못의 물이 단단하게 언다'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대한의 풍습  24절기의 마지막으로 또 다른 24절기를 맞이하기 위해 방과 마루에 콩을 뿌려 악귀를 쫓는 풍습이 있습니다. 농업이 주요한 일이었던 시절의 풍습으로 한가하기에 힘을 쓸 일이 없다고 한 끼 정도 죽을 먹습니다.  제주도에서는 대한이 지나고 5일~입춘의 3일 전까지를 신구간이라고 부릅니다. 이때는 사람들과 얽혀있던 신들이 모두 옥황상제에게 가는 날이라서 어떤 일을 해도 탈이 나지 않는다고 믿었습니다. 그래서 이때 이사나 집수리 등을 진행하는 풍습이 있다고 합니다. 대한의 속담  소한의 얼음은 대한에 녹는다.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  추운 소한은 있어도 추운 대한은 없다.  소한이 대한의 집에 몸 녹이러 간다.  소한에 얼어 죽은 사람은 있어도 대한에 얼어 죽은 사람은 없다.  여기까지는 다 소한이 대한보다 춥다는 ...

나폴레옹 수면법, 4시간만 자는 방법 하지 않는 것이 좋을지도

우리는 위대한 사람을 닮고 싶어 하는 마음이 있습니다. 오늘 알아볼 나폴레옹 수면법도 그래서 나왔는지 모르겠습니다. 나폴레옹은 프랑스의 위대한 황제로 알려져 있습니다. 원래는 군인이었고 나중에 황제로 올라섭니다. 전쟁을 하면서 원정도 많이 갔는데요. 그러면서 4시간 이상 자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것이 현대로 오면서 어떻게 저렇게 할 수 있을까 하면서 나온 방법이 바로 오늘 알아볼 나폴레옹 수면법입니다. 2주 동안의 과정  이 수면법은 총 2주에 걸쳐서 진행됩니다. 목표는 하루에 4시간 만의 수면으로 생활이 가능하게 하는 것입니다. 이제 구체적인 지침을 알아보겠습니다.  첫째 날 8시간 정도 잡니다.  둘째 날은 잠을 자지 않습니다.  셋째 날부터 다섯 번째 날은 6시간 동안 수면을 취합니다. 여섯째 날부터 여덟째 날은 4시간을 자면 됩니다. 아홉째 날은 둘째 날처럼 잠을 자지 않습니다. 열째 날부터 열네번째 날까지는 또 4시간을 잡니다.   이렇게 해가는 동안 몸이 안 좋아질 수가 있습니다. 두통이나 어지럼증이 생길 수도 있는데요. 만약 이런 증상이 생긴다면 회복 후에 첫날부터 다시 시작하면 됩니다. 그리고 이 기간의 수면은 무척 중요하므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통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면 심한 운동, 과식, 어두운 곳에서 핸드폰 보기, 과음 등이 이에 해당하겠습니다.  하지 않는 것이 좋을지도 이러한 방법이 맞는 사람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사람은 다 똑같지 않습니다. 잠의 부족이 우리 몸에 끼치는 악영향이 더 많기 때문인데요. 행복 호르몬이라고 불리는 세로토닌과 스트레스와 관련된 성장 호르몬은 잠자는 시간에 나오는데요. 잠을 줄이거나 건너뛴다면 감정 기복이 심해지거나 우울해지는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의 뇌는 잠을 자는 동안 하루에 받아들인 정보를 저장하고 휴식을 취하는데요. 이러한 시간이 줄어들면 이에 따른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폴...

2023년 중위소득 100% 가구원별금액, 뜻 알아보기

우리나라에는 여러 가지 지원정책들이 있습니다. 아무에게나 적용되지는 않고 항상 조건이 붙는데요. 그중에 항상 소득에 관한 내용이 있습니다. 바로 중위소득에 관한 것인데요. 퍼센트로 주어지는데 우리나라의 100명을 소득이 낮은 사람에서 높은 사람으로 세운다고 할 때 50번째를 중위소득 100%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것을 따지는 경우의 수가 참 많죠. 부양가족이 많으면 더 액수가 많아야 하겠고 매년 물가 상승률이나 임금 상승률도 다르니까요. 그래서 정부에서 이에 대한 내용을 발표합니다. 2023년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3년 중위소득 금액 50% 1인 : 1,038,946원, 2인 : 1,728,078원, 3인 : 2,217,408원 4인 : 2,700,482원, 5인 : 3,165,344원, 6인 : 3,613,991원 60% 1인 : 1,246,735, 2인 : 2,073,693원, 3인 : 2,660,890원 4인 : 3,240,578원, 5인 : 3,798,413원, 6인 : 4,336,789원 70% 1인 : 1,454,524원, 2인 : 2,419,309원, 3인 : 3,104,371원 4인 : 3,780,675원, 5인 : 4,431,482원, 6인 : 5,059,587원 80% 1인 : 1,662,314원, 2인 : 2,764,924원, 3인 : 3,547,853원 4인 : 4,320,771원, 5인 : 5,064,550원, 6인 : 5,782,385원 100% 1인 : 2,077,892원, 2인 : 3,456,155원 3인 : 4,434,816원 4인 : 5,400,964원, 5인 : 6,330,688원, 6인 : 7,227,981원 120% 1인 : 2,493,470원, 2인 : 4,147,386원, 3인 : 5,321,779원 4인 : 6,481,157원, 5인 : 7,596,826원, 6인 : 8,673,577원 130% 1인 : 2,701,260원, 2인 : 4,493,002원, 3인 : 5,765,261원 4인 : ...

혈관의 종류 세가지(동맥, 정맥 차이, 모세혈관)

 우리 몸의 70%는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진짜 물이 아니고 피이죠. 또 이것을 담아놓은 관을 혈관이라고 합니다. 이 혈관은 심장의 수축을 원동력으로 동맥을 따라 각 조직으로 가서 산소와 영양분을 주고 모세혈관에서 세포에 분배한 뒤 정맥에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담아 나릅니다. 전체적인 흐름은 이렇게 되는데요. 이것 말고 이 세 가지 혈관의 차이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맥 일반적으로 동맥은 산소가 많은 혈관을 지칭합니다. '일반적'이라는 말을 붙인 것은 예외가 있기 때문인데요. 폐로 들어가는 폐동맥은 조직을 다 돌고 산소를 받으러 들어가는 피가 담겨 있기 때문에 산소보다는 이산화탄소가 많습니다.  그 밖에 심장에서 높은 압력으로 쏘아대기 때문에 혈관벽이 두꺼우며 맥박이 느껴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 다치면 위험하기 때문에 몸속 깊은 곳에 위치합니다. 요골 쪽, 경부 쪽의 유명한 맥을 짚는 포인트들이 다 동맥입니다. 담고 있는 피는 선홍빛의 색깔을 띠며 요즘에는 애플워치와 같은 것으로도 산소 포화도 검사할 수 있지만 이 수치를 정확하게 검사할 때에는 동맥혈을 뽑아서 합니다. 관련된 질환은 나쁜 콜레스테롤이 혈관벽에 쌓여 딱딱해지는 동맥경화나 관이 좁아져서 생기는 고혈압 등입니다.  정맥 일반적으로 정맥은 산소가 적은 피를 담은 혈관을 지칭합니다. 이것도 폐정맥이라는 예외가 있습니다. 폐에서 막 나왔기 때문에 산소가 풍부합니다.  그 밖에 동맥과 반대로 혈류속도가 느리고 손과 발에 있는 혈관을 눈으로 볼 수 있을 만큼 표층에 위치합니다. 피는 검붉은 색을 띠고 역류를 막기 위해 판막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오래 서있는 분에게 하지 정맥류가 나타나고는 하는데요. 이는 판막이 고장 나서 생기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모세혈관 이것은 아주 작은 크기를 가졌지만 전체 혈관 면적의 과반 이상을 차지하는 혈관입니다. 실질적으로 조직과 물질을 교환하는 곳이며 생성되고 파괴되는 일이 자주 일어납니다. 생활하...

오소리 기름 효능, 부작용 알아보자

이미지
  오소리는 다 크면 25Kg까지 자라며 족제비과에 속하지만 곰과 닮았다고 하여 소웅이라고 불립니다. 사진과 같이 머리에는 검은 바탕에 흰 줄이 있으며 날이 추워지면 겨울잠을 잡니다. 오소리는 겨울을 보내기 위해 몸에 기름을 축적하게 되는데 이것을 '오소리 기름'이라고 부릅니다. 오늘은 이것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효능 1. 혈당 개선 오소리 기름이 당뇨 수치를 개선한다는 여러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이 연구팀은 12주 동안 꾸준히 이것을 먹은 환자군이 6주 차에 당뇨약을 끊고 나서 공복 혈당 수치가 증가하지 않은 것을 확인했습니다. 2. 피부 재생 및 화상 상처 흉터 개선 오소리 기름은 피부를 재생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상처에 흉터가 생기지 않게 바르기도 하고 평상시에 주름개선을 위해 사용하기도 합니다. 특히 화상으로 인한 상처에 많이 사용합니다. 3. 혈관 건강에 도움 오소리 기름에는 고등어나 홍화씨에 들어있는 불포화 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요. 이것이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 수치를 내려주어 혈관성 질환인 알츠하이머나 심혈관질환의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4. 위장 기능 개선 동의 보감에는 오소리 기름에 관한 내용이 있는데요. 바로 위염과 위궤양에 대한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입니다.  5. 폐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동의 보감에 폐 기능이 약하고 숨이 찰 때 미지근한 물에 오소리 기름을 넣어 마시면 좋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에도 효과가 있다고 하니 전문의와 상담 후 복용 여부를 결정하면 좋겠습니다. 6. 항염 효과 오소리 기름을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하면 습진이 번지지 않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이처럼 염증을 완화하고 항균의 효과가 있습니다.  8. 간 기능 개선 곰쓸개에 들어있는 UDCA라는 성분이 여기에도 들어있어 간 기능을 개선합니다. 우루X라는 약에서 들어본 성분이네요.  부작용 어떤 좋은 약도 모든 사람...

트윈데믹 뜻, 독감, 코로나 유행기준 및 예방법

 올해 2022년에 트윈데믹이라는 말이 돌고 있습니다. 얼마 전에 코로나19로 인해 전염병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다는 뜻의 팬더믹이라는 말을 많이 들었었는데요. 오늘은 트윈데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뜻 트윈(twin)은 보통 둘을 가리킵니다. 두명이서 잘 수 있는 침대도 그렇게 부르죠. 오늘의 경우에는 두 가지가 유행한다는 말입니다. 그 둘은 바로 독감과 코로나19입니다. 처음에 들었을 때 '둘이 합쳐진 바이러스가 있나'라고 생각했는데 그것은 아닙니다. 독감의 유행 기준 이것을 알기 위해서는 의사환자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이는 38도 이상의 발열이 있고 기침, 인후통의 증상을 보이는 환자를 의미하고요. 인구 1000명당 의사환자의 수를 의사환자 분율이라고 합니다. 통상 외래환자 1000명당 4.9명이면 독감이 유행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2022년 10월 현재 청소년층에서 천명 당 14.3명의 의사환자가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코로나19 반면 코로나의 유행을 알 수 있는 지표는 재감염 지수입니다. 뉴스에 많이 언급되고 있죠. 이는 감염자 1명이 바이러스를 옮기는 환자 수를 의미합니다. 1을 기준으로 그 이상은 유행 중인 것이고 이하는 줄어들고 있는 상황 인거죠. 예방법 현재 상황이 진단하는 키트의 보급도 원활하지 못하다고 하고 치료 약도 부족한 상황이어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에 가장 좋은 치료는 예방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이러한 방법에는 특별한 것이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항상 기본이 가장 중요하겠죠.  1. 독감 예방 주사를 맞는다. 항체 생성까지는 2주가 소요되므로 빨리 맞는 것이 좋습니다.  2. 개인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킨다. (손 씻기 등등) 3. 자율적으로 마스크를 착용한다. 

24절기 중 소설 뜻과 속담, 풍습

24절기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을 각각 6개로 나눕니다. 그중에서도 오늘 알아볼 소설은 겨울에 해당하는 입동과 대설 사이의 두 번째 절기인데요. 오늘은 이 뜻과 관련된 속담 및 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설의 뜻 정확한 시기는 태양의 황경이 240도일 때를 이야기합니다. 한자는 적을 소(少), 눈 설(雪)을 쓰는데요. 글자 그대로 적은 눈이 오는 시기를 말합니다. 첫눈은 많이 오는 경우가 드물죠. 그리고 아직 따뜻한 햇볕은 남아있어 소춘(작은 봄)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입동이 지나고 2주 정도 지난 시기에 찾아오는데 날씨가 급격히 추워지며 양력으로는 11월 22일이나 23일, 음력으로는 10월에 들어갑니다. 중국에서는 소설이 지나면 5일씩 묶어서 3개의 기간을 나누고 다음과 같이 이야기했다고 합니다. 초후 : 무지개가 걷혀서 나타나지 않음 중후 : 천기는 오르고 지기는 내린다. 말후 : 폐색되어 겨울이 됨 관련된 속담 1. 소설 추위는 빚을 내서라도 한다.  보리농사를 지을 때 소설에 추운 것이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초순의 홑바지가 하순의 솜바지로 바뀐다.  온도가 급격히 내려가며 추워짐을 의미합니다. 소설쯤에 부는 바람을 손돌 바람이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전해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옛날 어떤 임금이 피난을 가는데 손돌이라는 사공이 배를 몰았습니다. 그런데 이 사람이 물살이 센 곳으로만 배를 몰자 임금은 이 사공이 다른 생각이 있다고 생각하여 죽였는데 그 이후에 더욱 물살이 거세지고 바람이 불어서 말을 잡아 제사를 지내니 그제야 가라앉았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때가 소설 즈음이었고 무사히 피난을 간 왕은 손돌의 장례를 크게 치러줬다고 합니다. 그 후에 이 무렵 부는 바람을 손돌 바람이라고 부르며 뱃사람들은 소설에 배 띄우기를 주저한다고 합니다. 이 왕은 고려 23대 왕인 고종이 몽고군을 피해 강화도로 몽진을 가던 때라고도 하고 조선시대 이괄의 난을 피해 도망가던 인조라는 말도 있습니다.  풍습 1. 김장하기 소설을...